■ 파생금융상품이란?
금융상품이란
돈을 융통하기 위해 만들어 낸 상품입니다. 누구나 하나쯤 가지고 있는 보통예금통장도 금융상품의 일종이고,
적금통장도 금융상품의 일종입니다.
그러면 파생금융상품이란 무엇일까요? 파생금융상품이란 금융상품에서 파생되어 나온 것입니다. 에고고~ 이게
무슨 소리?
언제나처럼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파생상품
보통의 상품은 물건을
건네주면 그 자리에서 돈을 주고 받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보통의 거래방식에서
파생되어 나온 방식이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선물과 옵션입니다.
선물
배추농사를 짓는 농부가 있습니다. 올해에 배추값이 한 포기에 10원도 안될 것 같은 불길한 예감이 자꾸
듭니다. 그래서 빨리 추수시기가 오기 전에 좋은 가격으로 계약을 했으면 좋겠는데 고민이 태산입니다.
그런데 농산물 수집상아저씨는 그 반대입니다. 요즘 들어 꿈자리가 뒤숭숭한 게 올해는 배추값이 최소한
한 포기에 10,000원 이상은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빨리 추수시기가 오기 전에 낮은 가격으로 계약을
했으면 합니다.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 등장한 것이 선물입니다. 즉, 먼저 물건을 사고 팔겠다는 계약을 하는 것입니다.
올 가을에 배추 한 포기당 2,500원에 팔고 사기로 농부와 수집상이 계약을 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농부는 똥값으로부터 안전하고, 수집상은 금값으로부터 안전하게 됩니다.
선물이 무엇인지 쉽죠? 그런데 이러한 선물에는 또 다른 문제가 있습니다. 만약 배추 한 포기에 2,500원,
총 10,000포기를 사기로 계약을 했다고 합시다. 그런데 가을에 배추 한 포기당 10원이 되었다고
합시다. 농부로서는 땡잡았지만 배추 수집상은 바보짓 했다고 마누라한테 맞아죽어야 합니다.
선물의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등장한 것이 옵션입니다.
옵션
옵션은 우리말로 번역하면 [선택권]입니다. 옵션의 원리는 흔히 우리가 어떤 계약을 할 때 걸어놓는 계약금과
비슷합니다.
예를 들어 위에서 말한 배추 수집상의 경우 만약에 배추 한 포기가 10원이 되어버리면 약 2억 4,000만원((2,500원×10,000포기)-(10원×10,000포기))의
손해를 보게 됩니다. 시중의 배추값이 10원인데 2,500원을 주고 사는 기분이 어떻겠습니까? 아마
똥 씹은 기분보다 더 할 것입니다.
바로 이러한 선물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계약금을 걸어놓는 것입니다. 올 가을에 배추 한 포기당 2,500원씩,
총 10,000포기를 살 수 있는 권리를 100만원에 사 놓는 것입니다(쉽게 말해 계약금 100만원을
거는 겁니다). 그러면 이 다음에 배추값이 10원, 즉 똥값이 되면 [2,500원에 10,000포기를
살 수 있는 권리]를 포기하면 되고(물론 이 과정에서 100만원은 포기해야 되지만) 만약 배추가격이
10,000원으로 폭등하면 권리를 행사해서 떼돈을 벌면 됩니다.
이때 '살 수 있는 권리'를 콜옵션이라고
합니다. 콜옵션과 같은 원리로 '팔 수 있는 권리'를 이용해서 돈을 벌 수도 있는데 이때 팔 수 있는
권리를 풋옵션이라고
합니다.
파생금융상품
우리는 긴 이야기를 통해 일반적인 상품거래에서 파생되어 나온 선물과
옵션의 개념을 잡았습니다. 그런데 선물과 옵션은 물건의 거래에만 이용되는 것이 아닙니다.
금융상품의 거래에서도 선물과 옵션이 이용되는데 이것을 가리켜 파생금융상품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이런 거죠. '2020년
10월에 1달러를 400원에 산다' 또는 '2020년 10월에 1달러를 100원에 살 수 있는 권리를
20원에 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