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수란?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물질적 부가 과거에 비해 얼마나 증가했는지 조사하기 위해 만들어낸 개념이 지수입니다.

지수의 원리는 간단합니다. 예를 들어 10년전 대한민국에서 생산된 자동차가 10대였다고 합시다. 그러면 이것을 100으로 잡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생산된 자동차가 30대였다면 자동차생산지수는 300이 됩니다. 10대를 100으로 잡았으니 30대는 300이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탄생한 지수를 해석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예를 들어 어느날 잠에서 깨어 신문을 뒤적거리는데 우리나라의 풀빵생산지수가 500이라고 나왔다면 우리는 이렇게 해석 할 수 있습니다.

"기준연도가 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어쨋든 풀빵이 옛날보다 5배나 더 많이 생산되고 있구나!' 하고 말입니다.


Copyright ⓒ [경제신문읽는법] All Rights Reserved.
홈지기 이메일 : till000@hanmail.net